코치/쌤 List

'Performance'으로 검색한 아티스트 입니다..

HAN KOREA

[작품의 특징] 한한국(본명: 韓韓國 / 낙관명: HAN KOREA)은 조선시대 대표 서예가 한석봉의 33대손으로, 8세 때부터 붓을 잡았다. 세계 유일하게 세계평화작가로 불리며 세계평화와 한반도 평화통일을 염원하기 위해 1993년부터 30년간 세게 각 국가의 문화와 역사적인 내용 등을 기록하여 한글서예, 미술, 지도, 측량을 융합 디자인해 세계 41개 국가의 '세계 평화지도'(World Peace Map) 작품들을 완헝해 세계최고기록인증을 받았다. 2008년 주유엔한국대표부를 통해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작품의 상징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UN본부 22개국 대표부 미국, 영국, 중국, 러시아, 독일, 스위스, 일본, 노르웨이, 이탈리아, 캐나다, 멕시코, 베네수엘라, 브라질, 스웨덴,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티리아, 이스라엘, 몽골, 폴란드, 핀란드, 대한민국 대표부에 기증하여 현재 영구 전시 소장중에 있으며, 남북분단이후 최초로 한반도평화지도(우리는 하나) 대작이 북한 국제친선전람관에 영구소장 전시돼 있는 유엔이 인정한 세계평화작가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2010. G20정상회의기념 국회특별전과 2011. G20국회의장회의기념특별전 등 국제적인 행사 초청작가이고, 2013년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공모당선 최우수 작가로 선정 됐다. 또한 국제평화대상, 글로벌 자랑스러운 인물대상, 대한민국을 빛낸 인물 예술대상, 제4회 경기도를 빛낸 자랑스러운 도민상, 국제평화언론대상, 통일부장관상 등 90여 차례 수상했다 - 세계평화작가 / 서화가 - UN 세계평화지도 창시작가 - UN 22개국 대표부 전시/소장작가 - 세계평화 홍보대사 - UN세계평화위원회한국협회 세계홍보대사 - 뉴욕 한국문화원 단독초대작가 선정 - 중국 베이징 한국문화원 단독초대작가 선정 - 슈퍼탤런트 세계기록 인증서 획득 [Features of the Work] Han Han-guk (real name: 韓韓國 / seal name: HAN KOREA) is the 33rd descendant of Han Seok-bong, a renowned calligrapher from the Joseon Dynasty. He began holding a brush at the age of 8. He is the only artist in the world recognized as the "World Peace Artist" and, driven by a deep desire for global peace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spent 30 years since 1993 recording the cultures and historical contents of various countries worldwide. By integrating Hangeul calligraphy, art, maps, and surveying, he completed the "World Peace Map" series, featuring works from 41 countries, which earned him the Guinness World Record certification. In 2008, through the South Korean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his works were recognized for their symbolic value in promoting world peace. His works were donated to 22 UN member stat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China, Russia, Germany, Switzerland, Japan, Norway, Italy, Canada, Mexico, Venezuela, Brazil, Sweden, Argentina, Australia, Austria, Israel, Mongolia, Poland, Finland, and the South Korean Mission, where they are permanently exhibited and stored. Additionally,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is masterpiece "Korean Peninsula Peace Map (We Are One)" was permanently stored and displayed at North Korea's International Friendship Exhibition Hall, attracting international attention as a work recognized by the UN and a global peace advocate. He has been invited as a featured artist to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2010 G20 Summit Commemorative National Assembly Special Exhibition and the 2011 G20 National Assembly Chairperson's Meeting Commemorative Special Exhibition. In 2013, he was selected as the best artist i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competition. He has also received over 90 prestigious award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Peace Award, the Global Proud Figure Award, the Person of the Year Arts Award, the 4th Gyeonggi Province Proud Citizen Award, the International Peace Media Award, and the Minister of Unification's Award. - World Peace Artist / Calligrapher - Creator of the UN World Peace Map - Exhibiting/Collecting Artist at UN Missions of 22 Countries - Global Peace Ambassador - Korean Association of the UN World Peace Commission, World Ambassador - Selected as a Solo Featured Artist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New York - Selected as a Solo Featured Artist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Beijing - Holder of the Super Talent World Record Certification

클래스 0 ea

Lee youn ae

● 국적 : 대한민국 ● 개인전 첫 번째 개인전 : 2007.2.28 (Tomato) 두 번째 개인전 : 2008.4 미국 워싱턴 & 오리건 주 아르스 전시회 세 번째 개인전 : 2010.11.3 (단성갤러리) 네 번째 개인전 : 2011.4.13 (KBS 방송국) 다섯 번째 개인전 : 2011.5.19 (구리 타워) 여섯 번째 개인전 : 2014.8.22 일상의 향기 (롯데호텔) 일곱 번째 개인전 : 2022.4.13 (경인미술관) ● 수상 경력 서울미술대전 입선 서울여성미술대전 임명 한국미술대전 특선 ● 현재 활동 한국미술협회 이사 노원미술협회 이사 서울미술협회 이사 도자기 마을 회원 및 도자기 연구소 운영 ● Nationality : Republic of Korea ● Personal exhibition 1st Individual Exhibition 2007.2.28 (Tomato) 2nd individual exhibition 2008.4 Ars Exhibition in Washington & Oregon State 3rd Individual Exhibition 2010.11.3 (Danseong Gallery) 4th Individual Exhibition 2011.4.13 (KBS Broadcasting Station) 5th Individual Exhibition 2011.5.19 (Guri Tower) 6th Individual Exhibition 2014.8.22 Scent of Daily Life (Lotte Hotel) 7th Individual Exhibition 2022.4.13 (Kyungin Museum of Art) ● Awards Seoul Art Exhibition Election Appointment to Seoul Women's Art Exhibition Special selection of the Korean Art Exhibition ● The present Director of the Korea Fine Arts Association Director of the Nowon Fine Arts Association Director of the Seoul Fine Arts Association, Pottery village members & pottery lab operation

클래스 4 ea

ZENI Ahan

[제니안 프로필] > Italy Design 경시대회 금상 > SKY방송 사업단 대표이사 역임 > 주요 매거진에 디자인 칼럼 기고 (SiSa Magazine, Art & Culture, Beauty & Fashion, Woman’s Era Magazine, Fashion Review, Fairness Newspaper) > JOEN News in a Series에서 Fashion Talk of ZENIAN 칼럼 연재 > Esperienza (Gucci O Gucci) 수석 디자이너 > Polantino 대표이사 │ 수석 디자이너 [대외 활동] > 세종포럼 정회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제작자협회 회원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회원 > 미래포럼 홍보위원 > 인재기부협회 부회장 [디자인 철학] 가장 전통적인 “한국적 디자인 컨셉”을 통해 전 세계에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글로벌 브랜드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비쥬얼 철학] 누구나 처음 만나게 되는 사람이나, 주위의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품위를 갖추어 예의바른 멋쟁이로 기억되어지길 바랍니다. 처음 만나는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판단하고 평가하는 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의상을 통한 “비쥬얼”이라고 생각합니다. 세련되고 멋진 비쥬얼을 통해 인기를 얻고 찬사를 받는다면 그것 또한 행복일 것입니다. “비쥬얼”의 긍정적인 역할을 최대한 살려 “자신을 표현”하는 것. 이러한 “비쥬얼”에 대한 디자인 중심의 철학을 지켜가겠습니다. [오징어게임] 오징어게임은 단순한 영상컨텐츠가 아닙니다. 하나의 문화 현상이였고, 그 파급력은 전세계인의 뇌리에서 “대한민국”이라는 4글자를 각인시키는 효과를 만들었습니다. '오징어게임의 디자인'. 오징어게임하면 떠오르는 “동그라미, 세모, 네모”의 도형이미지와 이것을 더욱 극명하게 인식시키는 분홍색과 다양한 비쥬얼의 칼라들. 그 중심에 “제니안”의 디자인이 녹아있습니다. 컨텐츠를 넘어 문화현상을 만드는 데에는 이런 제니안의 디자인과 디자인철학이 녹아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됩니다. 문화를 만드는 디자인, 그것이 제니안의 창의가 만들어가는 디자인입니다. [2023년] > 무등국빈 만찬 특별 선발 > 영국 찰스 대관식 초대 아티스트 > ZENIAN 다큐멘터리 DE 생방송 프로그램 방영 > In & Out Broadcasting News 단독 인터뷰 > “ZENIAN의 아주 특별한 선물” 패션 프로그램 패널 > 채널 25 Biz SBS 프로그램 참여 [2022년] > 글로벌 ZENIAN 패션 콘서트(KO, CH, FR) 기획 > Great Born Band와 협업 패션 콘서트 진행 [2021년] > 레미제라블 오리지널 팀의 MD 의상 및 굿즈 디자인 참여 > P4G 서밋 컨퍼런스 패션쇼 진행 [2020년] > ZENIAN 패션 마스크 출시 > 5개국과 BTS MD 제품 판매권 계약 > E-스포츠 룩 도메인 특허 등록 > 국제 E-스포츠 에이전시 패션 위원장 > UNEFF 패션 뷰티 이사 [2019년] > 제니안 패션쇼 in K호텔 > 페어신문, 패션 & 뷰티 등에서 칼럼 집필 > 한국독립위원회 서울특별시 위원장 > 부패방지위원회 이사 > 한국콘텐츠진흥원 패션부문 수상 [2018년] > 패션계에서 한국인의 자부심 수상 > 언론인 선정 패션 디자이너 > 글로벌 패션 회장 임명 > 녹색성장 패션 부문 대상 수상 > 글로벌 녹색성장 홍보위원장 임명 [2017년] > 여성시대, 예술 & 문화 칼럼 집필 > 판다베어 “싱싱이” 캐릭터 상품화 > 라프 시몬스와 MOU 체결 > Choi Young Ran(W.Painter)과 협업 [2016년] > 의정부시 제조공장 설립 > 패션 분야 크리에이티브 매니저 대상 수상 > “패션 리더 & 뷰티 리더” 설립 [2015년] > 김중석(서양화가)과 콜라보레이션 작업 > 스카프 및 넥타이 상표 등록 세누리정당 > 브릴리언트 100 코리안 패션부문 대상 [2014년] > 캐릭터 "노블캣 도도" 상표 등록 > 골프 트레이닝용 속옷 특 > 골프 트레이닝복 PCT 국제특허 등록 > 제니 가브리엘 시리즈 제정

클래스 0 ea

노보경

- 국적 대한민국 (1954년 출생) - 경력 한일 교류 작가 초대전 인도네시아 문화부 초대전 한양 미술대전 특별선정 일본 문화진흥원 추천 작가 경인미술관 개인전 (2회) 신동아 미술대전 특별선정 이승만 대통령 초상화 배재대학교 역사박물관 기증 현재) 글로벌대학교 응용예술학부 겸임 교수 현재) (사) 미래와 도약 이사장 - 작품의 특징 한국을 대표하는 초상화 작가입니다. 살아있는 듯 생동감 넘치는 하이퍼리얼리즘 회화로 유명하며, 비교할 수 없이 독특한 캔버스에 그림을 그립니다. 역사적 인물뿐만 아니라 정치 및 금융계의 유명 인물들에 대한 초상화를 그린 바 있으며, 그의 작품은 독특한 초현실적 기법과 그 뛰어난 예술성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Nationality : Republic of Korea(Born in 1954) Career - Invitational Exhibition of Korean-Japanese Exchange Writers - Indonesian Minister of Culture Invitational Exhibition - Hanyang Art Competition Special Selection - Japan Culture Promotion Agency Recommended Artist - Kyung-In Art Museum Solo Exhibition (2nd time) - Shindonga Art Competition Special Selection - President Syngman Rhee Portrait Donated to Baejae Academy's History Museum - Current) Adjunct Professor of Applied Arts at Global University - Current) Standing Director of "Future and Leap" Incorporated Association Features of the work He is a representative portrait artist in Korea. He is famous for his hyper-realistic paintings that seem to be alive and vivid, and he paints on canvases that are incomparably unique. He has painted many portraits of not only historical figures but also famous figures in the political and financial world, and is recognized for his work and his unique surrealistic techniques.

클래스 0 ea

수암 박경호

프로필 - 首岩 朴景浩 [기본 정보] 출생지: 서울 학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학과 졸업 사사: 수당 김종국 선생에게 사사 [주요 개인전] 개인전 14회 (부스전 포함 3회) 주요 전시 장소: 광화문 K-ART 거리 소통 프로젝트, 미술세계, 포스코 갤러리 등 [수상 내역] 행자부 장관상 서울시 의회 의장상 한국미협 이사장 상 [참여한 주요 전시 및 프로젝트] 한국 화맥전-평창 무이 미술관 경기의 사계 (구리아트홀) 한국미술의 오늘 100 인전 (미술세계) 세계 예술인의 날 기념전 (나루 아트 센터) 한국 자연 환경의 현대성 (포스코 갤러리) 전국 우수작가 초대전 (갤러리 탑) 한국 아트 페스티벌 (온세 아트센터 2019-2020) 한, 루마니아 국제 미술 교류전 독일 바이로이트시 한국미술 초대전 (바이로이트 시청) 목포 수묵 비엔날레 2018 동두천 공공미술 프로젝트 2021 경기도청 북부청사 경기 천년길 갤러리 초대 개인전 [기타 활동] 수암의 그림이야기 출간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경기 미술대전 심사위원 경기도 평화통일 미술대전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회룡 미술대전 심사위원 [현재 활동] 한국예술인 복지재단, 한국 미협, 생묵회, 한강 미술협회, 원소회, 진경사생회, 경기 국제미술 창작협회 회장 Profile - Suyam Park Kyungho Born in Seoul Master’s degree in Art Education from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ied under Master Kim Jongguk (Sudaeng) Held 14 solo exhibitions (including 3 booth exhibitions) Received Minister of Culture and Sports Award Received Seoul City Council Chairman Award and Korea Fine Arts Association Chairman Award K-ART Street Communication Project – Gwanghwamun Korea Calligraphy Exhibition – Pyeongchang Mui Art Museum Four Seasons of Gyeonggi – (Beautiful Landscape Exhibition) Guri Art Hall Korean Art Today 100 Artists Exhibition – Art World World Artists' Day Commemorative Exhibition – Naru Art Center Contemporary Nature of Korean Natural Environment – POSCO Gallery National Excellent Artists Invitational Exhibition – Gallery Top Korean Art Festival – Onse Art Center 2019-2020 Korea-Romania International Art Exchange Exhibition German Bayreuth Korean Art Invitational Exhibition – Bayreuth City Hall Mokpo Sumuk Biennale 2018 The Master and Disciple Exhibition (Insa Art Plaza) Boryeong Art – Embracing the Sun Exhibition – Boryeong Cultural Arts Center Uijeongbu Arts Through Art – Uijeongbu Arts Center Dongducheon Public Art Project 2021 – Dream of Dongducheon Exhibition (Dongducheon City Hall) 2023 – SoYo Yechan Mural Project 6m-60m Invited Solo Exhibition at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North Office Gallery Four Seasons of Gyeonggi Beautiful Landscape Exhibition Nature, People, and Art Harmony Exhibition – Pocheon Banwon Art Hall Published Sooam’s Story of Paintings Over 150 group exhibitions Served as a judge for the Korea Fine Arts Exhibition Served as a judge for the Gyeonggi Fine Arts Exhibition Served as a judge and operational committee member for the Gyeonggi Peace & Unification Fine Arts Exhibition Served as a judge for the Hoeryong Fine Arts Exhibition Current Positions President of the Korea Artists Welfare Foundation, Korea Fine Arts Association, Saengmokhoe, Han River Art Association, Wonsohoe, Jinkyeong Life Drawing Association, Gyeonggi International Art Creation Association.

클래스 0 ea

정경자

정경자 > 국적 대한민국 (일본 교토 출생) > 경력 정경자 작가는 일본 여성대학에서 공부한 후 1970년 파리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 입학하며 파리에 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30여 년 동안 주로 일본과 프랑스에서 활동을 이어갔으며, 1990년대 중반에 한국으로 돌아와 양평군에 정경자 미술관과 아틀리에를 설립하고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활발한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정경자 문화재단은 지역 개발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의 소외된 사람들과 청소년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작품의 특징 색채의 마법사. 이는 그녀를 표현하는 한 문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술적이고 음악적인 요소들을 세심하게 계획하고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그림을 '시각을 위한 음악'으로 표현하고, 그 그림들이 불협화음 없이 우아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작품들을 통해 저는 관객들이 상상의 영역을 넘어서는 꿈의 세계로 빠져들게 하여 시인의 마음이나 음악가의 감성을 품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색채의 마법사’가 되기를 바랍니다. Chung kyung ja > Nationality Republic of Korea (Born in Kyoto, Japan) > Career Artist Chung kyung-ja studied at Japan Women's University and began living in Paris by entering the Paris Academy ‘De la Grande Chaumière’ in 1970. She has mainly worked in Japan and France for over 30 years. She returned to Korea in the mid-1990s, settled in Yangpyeong-gun, and established the Chung Kyung-ja Art Museum and atelier, where she continued her active work for nearly 50 years. The Chung kyung-ja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striving for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various sharing activities for local underprivileged people and youth. > Features of the work The magician of color. It can be said to be a sentence that expresses who she is. Through the process of carefully planning and arranging artistic and musical elements, we aim to express paintings as ‘music for sight’ so that they can reach a state of elegance without any moment of dissonance. Through the process of carefully planning and arranging artistic and musical elements, we aim to express paintings as ‘music for sight’ so that they can reach a state of elegance without any moment of dissonance. Through these works, I hope to become a 'magician of color' who seduces the viewer into a world of dreams that transcends imagination by making them embrace the heart of a poet or the sensibility of a musician.

클래스 0 ea